본문 바로가기
History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원인 투키디데스의 함정

by 최상민수 2024. 3. 28.
반응형

1947년 미국 국무장관 조지 마셜은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아테네의 몰락을 되새셔 보지 않은 사람이 현대 국제 관계에 대해 잘 알 수 는 없다고 말하였습니다.
20세기 후반 미국 중심의 나토와 소련 중심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대립은 펠로폰네소스 동맹과 델로스 동맹의 대립을 떠올리기 충분 하였습니다.

 

지배 세력과 신흥 세력의 갈등

 

2012년 미국의 국제정치학자 그레이엄 앨리슨이 ‘투키디데스의 함정’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신흥 지배 세력이 기존 지배 세력에 도전 하고 전쟁으로 확대 된 경우가 16건 중 12건이나 되었다고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는 역사가 투키디데스의 분석 신흥 부상 세력 아테네의 자신감이 기존 지배 세력 스파르타의 불안감과 충돌하여 전쟁을 일으켰다는 견해와 일치 하였습니다.

 

스파르타 아테네 서로 다른 발전 과정과 문화 


기원전 479년 그리스 연합군이 페르시아군을 성공적으로 막아 낸 후에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스파르타와 아테네 두 개의 강대국 중심으로 갈라지기 시작합니다. 두 국가는 시작 부터 많이 달랐습니다. 아테네인은 이오니아인으로서 자신들은 그리스 토박이 라고 생각하였으며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고자 식민 도시를 개척하고 무역을 장려하는 등 개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반대로 스파르타는 북쪽 도리아인으로서 펠로폰네소스 토박이들을 노예를 삼아 정착 하였으며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폐쇄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치적으로도 아테네는 토착 자유 거주민 다수가 통치하는 민주정, 스파르타는 소수 침략 계급이 통치하는 과두정 서로 상반 된 지배 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테네에서는 시민들이 광장에서 서로 토론하고 투표를 하였지만 스파르타는 토론 보다는 명령과 규율에 의해 움직이는 전사들의 병영 국가 였습니다. 이렇듯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두 국가의 힘의 경쟁에 더하여 문화적으로도 상반 된 점이 상대방을 더욱 적대적으로 대하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전쟁으로 치닫게 됩니다.  

반응형